본문 바로가기
3. 요즘 경제 한입

2025년 노벨평화상: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수상, 트럼프·일론 머스크는 거론에 그쳐

by 그레이스풀필 2025. 10. 12.

매년 10월, 전 세계의 시선은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발표되는 노벨상에 집중됩니다. 그중 노벨평화상은 정치, 사회, 인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영향력을 발휘한 인물과 단체가 후보로 거론되며, 국제적 관심을 한 몸에 받습니다.

트럼프와 일론머스크까지 거론되어 어느때보다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2025년 노벨평화상은 베네수엘라 야권 지도자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María Corina Machado) 가 수상했습니다.

2025 노벨상


1.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2025년 노벨평화상 수상

  • 수상 이유: 베네수엘라 국민의 민주적 권리 증진과 독재에서 민주주의로의 평화로운 전환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
  • 헌정: 마차도는 수상 소감을 통해 트럼프가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노력에 기여했다고 하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상을 헌정했습니다. 

2. 트럼프 노벨평화상 후보와 논란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등에서 평화적 해결을 시도했다는 평가와 함께 우크라이나 의원의 추천을 받아 2025년 노벨평화상 후보로 거론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7개월 만에 7개의 전쟁을 종식시켰다며 평화상 수상 자격을 주장하며 노벨위원회에 압박을 가했지만, 최종 수상에는 실패했습니다.

경제적 관점에서는 트럼프 후보 거론과 수상 실패가 관세, 투자, 국제 금융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2조 달러 규모의 노르웨이 국부펀드 투자와 국방비 증액 압박 등으로 국제 금융과 투자 트렌드에 일정한 파급력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그의 고립주의 정책과 군축 노력 부족을 이유로 수상 기준에 미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1987년 체결된 중거리핵전력조약(INF) 파기 등 군축 관련 정책은 노벨평화상 원칙과 상충한다고 평가되었습니다.


3. 2025년 노벨평화상 주요 후보 명단

 

도널드 트럼프 (미국) 재임 중 “7개 전쟁 종식” 주장과 국제 평화 활동을 스스로 후보 자격으로 언급
유리아 (러시아) 반체제 활동과 인권 운동으로 주목
그레타 툰베리 (스웨덴) 기후 변화 대응, 글로벌 환경 캠페인 리더
박청수 (한국) 봉사 및 평화 관련 활동
안토니우 구테흐스 (전 UN 사무총장) 국제 평화와 인권 증진 공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언론 자유와 글로벌 연결성 증진, 재생에너지·우주 탐사 기여

 

2025년 노벨평화상  발표

 


4. 2025년 노벨상 발표 일정과 혜택

  • 발표 일정: 10월 6일부터 10일까지 하루에 한 상씩 발표, 경제학상은 10월 13일
  • 공식 시상식:  12월 10일 
  • 장소: 노르웨이 오슬로, 스웨덴 스톡홀름
  • 혜택: 메달, 상장, 상금 약 1,170,000달러

5. 2024~2025년 노벨상 비교

분야 2024년 수상자 업적 2024년 수상자 업적
평화상 니혼 히단쿄(일본) 핵무기 없는 세상 노력, 핵무기 재사용 방지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베네수엘라 )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
문학상 한강(한국) 역사적 트라우마와 인간 생의 연약함 표현 크러스너호르커이라슬로 (헝가리) 초현실적이고 부조리한 소설 작품으로 수상
생리의학상 빅터 앰브로스, 게리 러브컨 마이크로 RNA 발견 및 기능 규명 Mary E. Brunkow, Fred Ramsdell, Shimon Sakaguchi (미국,일본) 면역 체계 연구로 수상
물리학상 존 홉필드, 제프리 힌튼 인공 신경망 기반 머신러닝 연구 John Clarke, Michel H. Devoret, John M. Martinis (미국) 양자역학 실험 공로
화학상 데이비드 베이커, 데미스 하사비스, 존 M. 점퍼 AI 활용 단백질 구조 예측, 설계 혁신 Susumu Kitagawa, Richard Robson, Omar M. Yaghi (일본) 금속-유기 골격체(MOF) 개발 공로
경제학상 다론 아제모을루, 사이먼 존슨, 제임스 A. 로빈슨 경제·사회 제도가 국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발표 예정 (2025년 10월 13일) -

6. 2025 노벨상 경제·정치적 시사점

2025년 노벨상 수상자는 미국과 일본 출신이 중심을 이루며, 일본은 2개 분야에서 수상했습니다. 한국은 문학 분야에서 과거 수상 경험이 있지만, 전반적인 수상 현황을 보면 더 많은 노력과 경쟁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노벨상은 단순한 명예 수상을 넘어, 국제 정치, 경제, 사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합니다. 각국의 연구, 혁신, 사회적 기여가 국제 무대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도 활용됩니다.

 

 

블랙록의 한국 AI 허브 구축, 경제에 주는 의미와 우리의 기회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한국에 AI 허브를 구축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블랙록은 운용자산만 약 14조 달러(한화 약 1경 9천조 원

gracefulfil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