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관세3

한미 관세 25%->15% 인하 대미투자 핵심내용 총정리 2025년 7월 30일, 미국과 한국이 전면적인 무역협상을 타결하면서 관세가 기존 25%에서 15%로 인하되었습니다.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이 관세 인하 대상에 포함되어 우려했던 상황들이 잘 협상이 되어 다행입니다. 원래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에 따라 대부분 품목에서 무관세 상태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25% 관세 부과를 경고하며 협상을 압박해왔습니다. 협상단의 노력으로 25%를 피해 정말 다행인 상황이지만 15% 관세가 새롭게 도입된것이기도 합니다. 1. 한국이 미국에 약속한 주요 양보안 (한국->미국)한국은 이번 협상에서 대규모 대미 투자와 시장 개방을 약속했습니다.● 총 3,500억 달러(약 487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한미 조선협력펀드 .. 2025. 7. 31.
8월 1일 한미관세 D-Day, 한국의 대응 상황은? 25년 7월 한미관세 발효시점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14개국에 대해 25%의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국내 산업과 증시, 특히 코스피 시장에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등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만큼, 이번 한미 관세 협상이 향후 경제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데 결론이 어떻게 날찌 긴장감이 높아지는 시기입니다.1. 트럼프의 관세 전략: 전방위 압박트럼프 대통령은 7월 9일(현지시간) 14개국 정상에게 관세 인상 방침을 통보했습니다.한국과 일본은 25% 관세, 브라질은 50%, 필리핀은 20%, 브루나이·몰도바는 25%, 알제리·이라크·리비아·스리랑카 등은 30%가 적용됩니다.이 중 특히 구리(Copp.. 2025. 7. 10.
트럼프, 4월 2일 부터 자동차 관세 부과 예고 (+한국의 부가가치세 논란)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관세 부과에 이어 4월 2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이에 따라 한국은 주요 자동차 수출국으로서 추가적인 관세 부담을 안게 되었습니다.지난번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트럼프가 주장하는 상호관세 논리에 따르면 자동차 관세는 0%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관세르 부과하려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는데 생각지도 못한 방법이 제시되었습니다.1. 대미 자동차 무역 현황현재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약50조원 규모이며, 반대로 한국이 미국에서 수입하는 자동차는 연간 4만대로 총 3조 원 수준입니다. 한미 FTA 이후 한국산 자동차의 대비 수출 관세는 0%였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려 하고 있습니다. *자유무역협정(FTA : Fr.. 2025.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