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경제 공부와 재테크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부동산 이나 주식에 관심을 가집니다.
저 역시 한동안은 제대로 된 재테크 하나 하지 못한 채 회사라는 거대한 기계의 작은 부품처럼 일만 하며 지냈습니다.
그러다 문득 ‘돈에 대해 진짜로 공부해봐야겠다’ 는 생각이 들었고, 그때 처음 접한 영상이 바로 EBS 다큐프라임의 자본주의 시리즈였습니다.
자본주의의 탄생과 그 이전의 경제
우리는 자본주의가 마치 오래전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여기지만, 사실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은 지는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금융자본주의는 100여년 남짓되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자본주의 이전에는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경제활동을 했을까요?
이 다큐는 그런 과거의 모습부터 시작해, 현대 자본주의의 구조와 은행·대출·빚의 관계까지 낱낱이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돈의 근본을 이해하면 생기는 자신감
무엇보다 놀라웠던 점은 돈의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니, 돈에 휘둘리지 않고 주도적으로 다룰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돈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왜 빚과 연결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으니, 돈에 속지 않을 수 있을 것 같은 확신도 들었습니다.
추천: 자본주의 1부 — 돈은 빚이다
오늘은 그 시리즈의 첫 번째 편,「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이 영상은 돈에 대해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은 모든 분들께 꼭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2012년도 영상인데 지금은 이처럼 깊이 있는 다큐를 찾아볼 수 없어서 더 귀한 영상인것 같습니다.
돈과 경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싶은 분이라면, 이 다큐 시리즈가 분명 큰 통찰을 줄 것입니다.
돈은 누가 만드는가? – 은행의 숨겨진 원리
많은 사람들은 “돈은 조폐공사에서 찍어낸다”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실제로 쓰는 돈 중 조폐공사가 찍어낸 돈은 일부에 불과합니다.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은 그보다 훨씬 많고, 그래서 물가는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해 준 것이 바로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였습니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먼저 은행의 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조폐공사에서 나온 100원을 은행에 맡기면, 은행은 그중 10원만 남기고 나머지 90원을 대출해 줍니다. 이 과정에서 은행은 이자를 받아 수익을 얻습니다. 그렇게 되면 시중에 실제로 도는 돈은 190원이 되는 셈이지요. 이런 식으로 돈은 계속 불어나고, 그 결과 물가도 오르게 됩니다.
사람들이 은행에 돈을 맡기는 이유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은행에 돈을 맡길까요?
- 이자 수익
내 돈을 맡기면 은행이 이자를 지급합니다. 물론 대출로 벌어들이는 돈에 비하면 작지만, 안전하게 얻을 수 있는 수익이죠. - 안전성
집에 현금을 보관하면 도난이나 분실 위험이 있지만, 은행에 맡기면 예금자 보호 제도 덕분에 일정 금액은 보장됩니다. - 편리함
현금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계좌이체, 카드, 모바일 결제로 생활이 가능해집니다. - 신용
은행에 돈을 맡기고 거래를 이어가면, 나중에 돈이 필요할 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은행의 이익 구조
은행은 겉으로는 예금자에게 이자를 주지만, 실제로는 대출에서 더 큰 수익을 얻습니다. 즉, 은행의 진짜 이익은 ‘대출’에 있습니다.
이 구조는 사실 금을 거래하던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금을 맡아주던 금세공업자들이 일부를 보관하고, 나머지를 빌려주면서 수익을 낸 것이 지금의 은행 제도의 시작입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점
- 돈은 단순히 “찍어낸 것”만이 아니라, 은행을 통해 대출 과정에서 계속 늘어난다는 점
- 은행은 단순 보관소가 아니라 돈을 불려내는 핵심 기관이라는 점
-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이런 돈의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
돈은 신뢰와 빚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속에서 끊임없이 늘어나고 줄어듭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흔들리지 않고 살아가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이번 영상을 통해 여러분도 ‘돈’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시작점이 되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 자본주의 시리즈의 다음 편으로 이어가 보겠습니다.
'1. 경제 다시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한국 주식시장 핵심지표: PBR과 PER란? (4) | 2025.08.21 |
---|---|
부가가치세란 무엇인가? 빵 하나에도 담긴 경제 이야기 (49) | 2025.08.01 |
부자들이 따르는 ‘부의 공식’ 4가지만 따르라! (18) | 2025.04.11 |
자녀 청약통장, 언제 만들어야 할까? 적절한 시기와 혜택 정리 (1) | 2025.04.01 |
퇴직연금 DB, DC, IRP 차이점과 장단점 알아보기 (5) | 2025.03.28 |
파이코인(Pi Coin) 설치 후 해야 할 일 (+ 현금화 방법은?) (4) | 2025.02.24 |
파이코인(Pi Coin)이란? (+파이코인 상장 소식과 전망) (6) | 2025.02.20 |
경기종합지수 뜻 알아보기 (+25년 경기전망은?) (2)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