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경제 핫이슈 알아보기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3%과 보험료 13%인상 이슈

by 삶의재발견 2025. 3. 17.


국민연금 개혁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여야는 소득대체율을 현행 41.5%에서 43%로 높이고, 보험료율을 27년 만에 인상하는 방안에 잠정 합의했지만, 여전히 시민들이 요구하는 50%에는 미치지 않는 현황입니다.


1. 소득 대체율 이란?

소득대체율(Retirement Income Replacement Rate)은 연금 수령액이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연금의 보장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소득대체율 (%) = (월연금 수령액 ÷ 연금 가입기간의 월평균 소득) × 100

 

즉, 소득대체율이 50%라면, 연금을 통해 평균 소득의 절반을 보장받는다는 뜻입니다.

(월급여 300만원이라면 150만원 보장)

 

OECD 권고 소득대체율
OECD는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65~75%의 소득대체율을 권장합니다.

 

주요 국가 소득대체율 비교

  • 미국: 81.3% (가장 높음)
  • 프랑스: 60.2%
  • 독일: 55.7%
  • 일본: 55.4%
  • 영국: 49%
  • 한국: 47%

=> 한국의 연금 소득대체율은 OECD 평균보다 낮으며, 특히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부문에서 개선이 필요합니다

주요국가 소득대체율 비교 그래프

 

2. 한국의 소득대체율 변화와 그 역사


1988년 국민연금 도입 초기 소득대체율은 70%로 설정되었으나, IMF 외환위기 이후 재정 안정성을 고려해 차례로 낮아졌습니다. 2007년에는 50%로 낮춰졌고, 2009년에는 매년 0.5%씩 줄여 2028년에는 40%로 설정될 예정이었습니다. 2025년기준으로 소득대체율은 41.5%입니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변화


지난해 정부는 42%의 소득대체율을 제시했으며, 최근 여야는 43%로 합의했으나, 시민들이 바라는 50%에는 미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시민의 뜻을 반영하여 소득대체율을 50%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3.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9%-> 13%)

 

국민연금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위해 보험료율 인상도 조정되는 정책이 발표되었습니다.

매달 국민연금을 내야하는 직장인들에게는 예민한 이슈입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1988년 제도 시행 당시 3%에서 시작해, 1993년과 IMF 외환위기 후 두 차례에 걸쳐 인상되었습니다. 현재 보험료율은 9%로, 지난 27년 동안 변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보험료율을 0.5%씩 인상해 13%까지 올리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연금의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한 방안입니다.

세대간의 형평성을 고려해서 보험표 증가를 단계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20대 : 매년 0.25% 인상

*30대 : 매년 0.33% 인상

*40대 : 매년 0.5% 인상

*40대 : 매년 1% 인상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소득대체율을 43%로 올리고 보험료율을 13%로 인상하면, 수지 적자 전환 시점은 2048년, 기금 소진 시점은 2064년으로 각각 7년, 9년 늦춰집니다.


노후와 연금


국민연금 개혁은 단순히 보험료를 올리는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의 미래와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정부와 정치권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국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개혁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입니다. 개혁 과정에서 시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것이라 사료됩니다.